■ 재생에너지 전환으로 지난해 온실가스 약 26만7천톤 감축
■ REC, PPA 등 통해 안정적 재생에너지 공급망 확보 주력
■ 지난해 850억원 환경 분야 시설 투자…환경 설비 개선
LG이노텍(대표 문혁수, 011070)은 사업장 전력 사용량의 약 61%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RE(Renewable Electricity)100’을 선언한 지 1년여 만에 거둔 괄목할 만한 성과다.
이날 발간된 LG이노텍의 ‘2023-24 지속가능성보고서(Sustainability Report)’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해 사용전력의 60.9%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했다. 지난 2022년(22.1%) 대비 세 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이를 통해 감축한 온실가스량만 약 26만7천톤(tCO2eq, 이산화탄소 환산 톤)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년생 소나무 약 4천만 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효과다.
LG이노텍은 지난 2022년 ‘2030 RE100 달성’, ‘2040 탄소중립’이라는 도전적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해왔다.
전력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이 전체 배출량의 약 80~90% 가량 차지하는 만큼, LG이노텍은 이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해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그 일환으로 지난해 국내 그린에너지 투자 운영 회사인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BEP)와 재생에너지 인증서(REC)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LG이노텍은 20년 간 매년 약 100GWh 규모의 재생에너지 사용을 인정받게 됐다.
국내 에너지 전문 기업인 SK E&S와는 20년 간 연 10MW 규모의 재생에너지를 공급받는 내용의 PPA(Power Purchase Agreement, 직접전력구매) 계약도 지난해 체결했다.
또한 LG이노텍은 국내외 사업장 내 8MW 규모 태양광 발전 설비 확대 도입, 녹색프리미엄 제도 참여 등 안정적 재생에너지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LG이노텍은 올초 글로벌 탄소정보 공개 프로젝트인 CDP(Carbon Disclosure Project)의 기후변화 대응 평가에서 ‘리더십 A(Leadership A) 등급’을 획득했다. 이는 전세계 2만3,202개의 조사 대상 기업 중 1.5%에 해당하는 기업에만 주어진다.
한편, LG이노텍은 순환자원 생태계 관리 및 환경 영향 제로화에도 힘쓰고 있다. 2026년까지 국내외 전 사업장에서 글로벌 안전 인증기관인 UL(Underwriters Laboratories)의 ‘폐기물 매립 제로(ZWTL, Zero Waste To Landfill)’ 인증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미 구미∙파주∙평택 사업장은 인증 최고 등급인 플래티넘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베트남 등 해외 사업장의 인증 확보도 빠르게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LG이노텍은 환경 설비 투자도 크게 늘렸다. 지난해 환경 시설 투자에 전년 대비 약 5배 가량 증가한 850억원을 투입했다. 이를 활용해 국내외 사업장의 폐기물 처리 시설, 대기오염 방지 설비 등 환경 시설을 개선한 바 있다.
문혁수 대표는 “LG이노텍은 전 지구적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며 “글로벌 기업으로서 기후변화 대응에 앞장서는 것은 물론, 진정성 있는 ESG경영 실천을 통한 차별적 고객가치를 지속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이노텍의 지속가능성보고서는 LG이노텍 홈페이지(http://www.lginnotek.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용어설명]
■RE100: Renewable Electricity 100%, 전 사업장 100% 재생에너지 전환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발전사업자가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이용해 전기를 공급했음을 증명하는 인증서. 이는 한국에너지공단이 발급하며, 기업은 발전사업자로부터 REC를 구매, 이를 한국에너지공단에 제출해 재생에너지 사용을 인정받을 수 있음
■PPA(Power Purchase Agreement):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 및 공급사업자와 직접 전력구매계약 체결. 발전설비를 전기사용장소 내부 혹은 외부에 두는지에 따라 On-site PPA와 Off-site PPA로 구분